
정부가 지난 7월부터 개별소비세 인하 폭을 30%로 줄이고 기간을 연말까지 연장했다. 사진 = 한국경제신문DB
9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(코로나19) 재확산에 따른 경기 위축을 우려해 연말 종료 예정인 개소세 인하 혜택을 최대 6개월까지 연장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. 인하폭은 올 상반기와 같이 70%로 높이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지만 현행(30% 인하한 3.5%) 수준 유지가 유력하다는 설명이다.
앞서 정부는 2018년 7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승용차 개소세 한도를 정상세율(5%) 대비 30% 인하된 3.5% 세율을 적용했다. 올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되자 지난 3~6월 개소세 인하율을 70%까지 높여 1.5%만 적용했고 7월부터는 다시 3.5%의 세율을 적용하고 있다.

지난 5월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야적장에 생산된 차량들이 출고를 기다리고 있다. 사진 = 뉴스1
다만 이 효과가 내년까지 이어질지는 의문이다. 일시적인 개소세 인하는 미래의 수요를 현재로 당긴다는 의미가 크다. 세율 인하 혜택을 내년까지 연장해 내수 진작을 노리기 위해선 결국 더 멀고 불확실한 미래 수요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.

서울 시내의 현대자동차 판매 대리점의 모습. 사진 = 뉴스1
이번에도 1~2월을 제외하면 개소세 인하 혜택이 벌써 2년째 이어지고 있다. 효과가 떨어질 때가 됐다는 게 자동차 업계의 평가다. 환원과 연장을 반복하는 불확실한 개소세 정책에 소비자들도 신뢰를 잃은지 오래란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. 개소세는 차를 계약하고 길게는 몇 달을 기다린 뒤 차를 받고 등록할 때 부과된다.
한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"세율이 어찌 바뀔지 모르는 상황에서 소비자 지갑이 쉽게 열리지 않을 수 있다"며 "감면 혜택이 끝난 후 세율이 올랐을 때 돌아올 판매 절벽 우려도 커졌다"고 지적했다.
오락가락하는 정책에 일부 소비자들은 볼멘소리도 내고 있다. 올 연말 개소세 종료를 앞두고 부리나케 차량을 구매했더니 내년 개소세 인하폭은 더 커질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.
또 다른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"개소세 폐지 등 미래 수요까지 자극할 만한 요인이 없다면 내년에는 개소세 감면 효과가 올해만큼 뚜렷하지 않을 수 있다"고 말했다.
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@hankyung.com
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@hankyung.com
ⓒ 한경닷컴,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
December 09, 2020 at 12:48PM
https://ift.tt/3mZriG7
내년 車 개소세 연장 '가닥'…국내 판매 호조 지속될까 - 한국경제
https://ift.tt/3cQqz48
Bagikan Berita Ini
0 Response to "내년 車 개소세 연장 '가닥'…국내 판매 호조 지속될까 - 한국경제"
Post a Comment